마이스 시장변화 능동 대응, 지속 가능한 마이스 도시 환경구축 등 3대전략, 10개 세부과제 설정

(사)제주컨벤션뷰로는 올해 ‘MICE 시장 회복 및 지속 가능한 환경구축’ 실현을 목표로 사업계획을 확정하고 총력을 기울여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MICE 시장변화 능동적 대응, 지속 가능한 MICE 도시 환경구축, 지역 MICE 산업 활성화라는 3대 핵심전략 및 10개 세부과제를 설정하고, 제주 MICE 산업을 선도하는 중심조직의 역할을 강화해나간다는 계획이다.
우선 MICE 시장변화 능동적 대응을 위해 마이스 행사 유치 확대 및 미래 마이스 수요 발굴을 위한 마케팅을 강화한다.
대면 마이스 행사 회복 등 마이스 대외 환경 변화에 따라 국내외 마이스 전문 매체 광고 및 SNS 홍보를 강화하고, ICC 제주 등 유관기관 및 얼라이언스 회원사와 공동으로 마이스 설명회 및 세일즈콜, 국내외 마이스 박람회, 로드쇼 참석 등으로 현장 마케팅 활동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특히 국내외 회의, 기업회의 및 인센티브 투어 등 마이스 행사 유치 및 홍보 활동 지원을 강화하고, 개최 지원에 있어서도 온라인 참가자 지원을 제외하고 현장참가자 중심으로 현실적인 마이스 행사지원 기준을 수립 지원한다.
또한 지역 마이스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제주만의 특색과 강점을 활용한 지속 가능한 마이스 도시 환경구축을 추진한다.
특히, 올해는 그린 마이스 매뉴얼 이행 등 지속 가능한 그린 마이스 행사를 개최하는 경우 그린 마이스 인센티브를 부여할 계획이다.
그리고 최근 지역의 고유 전통과 유니크함을 내세운 새로운 마이스 행사장소가 주최자들과 참가자들에게 주목받고 있음에 따라 지역의 특색이 담긴 이색 장소인 유니크베뉴 13개소 및 마이스 연계 관광상품 13개소에 대한 활용 인센티브 지원을 강화하고, 인지도 제고를 위한 홍보활동 전개, 종사자 대상 교육 및 컨설팅 지원으로 제주 마이스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한다.
코로나19로 중단됐던 제주 마이스 산업대전도 개최해 마이스 산업 바이어 초청 도내 업계와 일대일 미팅도 진행한다.
마지막으로 지역 MICE 산업 활성화를 위해 전시산업 육성을 통한 제주 마이스 산업의 균형 발전을 도모한다.
국제회의에 치우친 마이스 산업의 균형발전을 위해 제주 개최 신규, 유망전시회를 발굴 지원하고, 지난해에 이어 자체 소규모 전시회를 기획 운영한다.
미래 마이스 인재 양성을 위해 컨벤션기획사, 국제전시기획사 등 자격증 취득과정인 제주 마이스 아카데미 및 도내 대학 산학연계 마이스 교육과정을 지속 운영하고, 코로나19로 잠시 중단됐던 대학생 마이스 지원단 ‘가온누리’활동 재개 및 마이스 종사자에 대한 역량강화 교육도 확대한다.
또한, 마이스 관련 데이터 수집을 통해 변화하는 마이스 시장에 대응해 나갈 계획이다.
출처: 제주뉴스 http://www.jejunews.biz/news/articleView.html?idxno=73133
마이스 시장변화 능동 대응, 지속 가능한 마이스 도시 환경구축 등 3대전략, 10개 세부과제 설정
(사)제주컨벤션뷰로는 올해 ‘MICE 시장 회복 및 지속 가능한 환경구축’ 실현을 목표로 사업계획을 확정하고 총력을 기울여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MICE 시장변화 능동적 대응, 지속 가능한 MICE 도시 환경구축, 지역 MICE 산업 활성화라는 3대 핵심전략 및 10개 세부과제를 설정하고, 제주 MICE 산업을 선도하는 중심조직의 역할을 강화해나간다는 계획이다.
우선 MICE 시장변화 능동적 대응을 위해 마이스 행사 유치 확대 및 미래 마이스 수요 발굴을 위한 마케팅을 강화한다.
대면 마이스 행사 회복 등 마이스 대외 환경 변화에 따라 국내외 마이스 전문 매체 광고 및 SNS 홍보를 강화하고, ICC 제주 등 유관기관 및 얼라이언스 회원사와 공동으로 마이스 설명회 및 세일즈콜, 국내외 마이스 박람회, 로드쇼 참석 등으로 현장 마케팅 활동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특히 국내외 회의, 기업회의 및 인센티브 투어 등 마이스 행사 유치 및 홍보 활동 지원을 강화하고, 개최 지원에 있어서도 온라인 참가자 지원을 제외하고 현장참가자 중심으로 현실적인 마이스 행사지원 기준을 수립 지원한다.
또한 지역 마이스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제주만의 특색과 강점을 활용한 지속 가능한 마이스 도시 환경구축을 추진한다.
특히, 올해는 그린 마이스 매뉴얼 이행 등 지속 가능한 그린 마이스 행사를 개최하는 경우 그린 마이스 인센티브를 부여할 계획이다.
그리고 최근 지역의 고유 전통과 유니크함을 내세운 새로운 마이스 행사장소가 주최자들과 참가자들에게 주목받고 있음에 따라 지역의 특색이 담긴 이색 장소인 유니크베뉴 13개소 및 마이스 연계 관광상품 13개소에 대한 활용 인센티브 지원을 강화하고, 인지도 제고를 위한 홍보활동 전개, 종사자 대상 교육 및 컨설팅 지원으로 제주 마이스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한다.
코로나19로 중단됐던 제주 마이스 산업대전도 개최해 마이스 산업 바이어 초청 도내 업계와 일대일 미팅도 진행한다.
마지막으로 지역 MICE 산업 활성화를 위해 전시산업 육성을 통한 제주 마이스 산업의 균형 발전을 도모한다.
국제회의에 치우친 마이스 산업의 균형발전을 위해 제주 개최 신규, 유망전시회를 발굴 지원하고, 지난해에 이어 자체 소규모 전시회를 기획 운영한다.
미래 마이스 인재 양성을 위해 컨벤션기획사, 국제전시기획사 등 자격증 취득과정인 제주 마이스 아카데미 및 도내 대학 산학연계 마이스 교육과정을 지속 운영하고, 코로나19로 잠시 중단됐던 대학생 마이스 지원단 ‘가온누리’활동 재개 및 마이스 종사자에 대한 역량강화 교육도 확대한다.
또한, 마이스 관련 데이터 수집을 통해 변화하는 마이스 시장에 대응해 나갈 계획이다.
출처: 제주뉴스 http://www.jejunews.biz/news/articleView.html?idxno=73133